안녕하세요. 얼마전까지 아씨오마 우노를 쓰다. 갑자기 싸게 나오는 벡터3 양발형을 여러기사들을 접하고 문제점의 보완을 강구한 후 구매를 하고 아씨오마를 판매하였습니다. 변경하게된 가장 큰 이유는 배터리가 내장된 아씨오마는 어느순간이 되면 배터리가 수명을 다 할 것이다. 라는 판단에서 였습니다. 하지만 안정성에서는 아씨오마가 한수 위인것 같습니다. 페달 외측부분에는 충격에도 크게 문제가 없겠더군요. 가민은 그런부분에서는 캡이 작살이 날것 같습니다. 문제의 플라스틱 나사부죠 케이스는 알류미늄이구요. ;; 토크도 세게조이면 안되더라구요. 이부분은 감수하자 하고 구매를 하였습니다. 60만 구매 우노 45만 판매 가장 좋은건 우노를 듀오로 바꾸는거지만 그 부분만 54만원이는 돈이 추가 되더군요. 확인해보니 스핀들만 47만에 구매할수 있게 되어 있는데 그래도 가민 벡터3가 더 땡겼습니다. 가민 510을 사용하다 830으로 업그레이드 가민빠가 되었습니다. 정말 말도많고 탈도 너무 많더군요. 1. 우측센서없음. 2. 파워가 갑자기 튀는 현상 3. 파워값의 오차 제가 확인 결과 이모든게 배터리 장착하는 케이스 및 커버에 문제라고 하며 대대적인 부품교체를 진행했더군요. 그러면서 배터리의 관리 미네랄오일을 바르고 2개월마다 접전부위를 닥아주고;; 일이 하나 늘어나는 듯한. ^^;; 현재는 확인 결과 배터리가 CR1/3N 두개를 겹쳐놓은 사이로 변경 되었더군요. LR44 , SR44가 초창기 규격이던데요. LR44는 1.5V X 2해서 3V 이고 SR44 1.55V X 2로 3.1V더라구요. 제꺼는 구매당시 SR44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었습니다. 3.1V 이죠 0.1V면 크게 차이가 없으니 그걸 써도 된다 라고 했겠죠? 박스에 캡등 여러가지가 풀세트로 구성되어 있더군요 배터리 캡도 신형으로 장착되어 있었고 나머지 구성품도 모두 있었습니다. 두근대는 마음으로 연결.. 오우 잘 잡힙니다~^^ 야호~~~~~ 도 잠시.. 우측센서없음.....ㅠㅠ 아놔 ... 분명 판매자분에게 문제 없었냐고 했더니 문제 없었답니다. ㅠㅠ 이런... 어짜피 감안했으니 잘해결해보자..ㅜㅜ 인터넷을 엄청 뒤졌습니다. 이때는 CR1/3N 배터리에 대한 내용에서 그 호주대머리 형님이 벡터 3에 대해 정말 심도 있게 다루는 내용을 보았지만 그때 당시에는 저 배터리는 정식사용규격에 없어 문제가 발생시 A/S 대처가 어렵다는 내용에서 그냥 넘겼죠. 또 뒤졌습니다. 관리편에 보면 미네랄 오일을 발라주더군요. 음... 오일은 흐르고 점성이 없어 파크툴 구리스를 캡과 커버 접전부와 배터리 사이에 발랐습니다. 일부 그리스등에는 첨가물이 통전이 되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했죠. 파크툴 HPG-1파랑색 그리스를 살짝 도포했습니다. 이건 정말 입니다. 우측센서 없음. 안뜨더라구요. 신호 드랍이 아예 없었습니다. ㅠㅠ 유레카~ 그럼 혹시 통전되는 그리스가 있지 않을까? 검색하니 정말 있습니다. ㅎㅎㅎㅎㅎㅎㅎ 카본이 첨가된 국내 캐미컬 제품이 10G에 오천원 바로 구매 햇습니다. 도착해서 기존에 구리스를 제거하고 통전 구리스를 바르니 살짝 불안했던 깨우는 기능부터 모든게 더 빠릿빠릿 해졌습니다. ㅠㅠ 완전 행복합니다.
*구리스 도포는 정말 조금만 하셔야 합니다. 접점이 그리 크지 않아 많이도 하지 못하지만요. - 배터리 커버의 양끝살짝~ 배터리 접합부 살짝 이후 배터리의 -,+부위 중심을 기준으로 약 3mm 정도 도포 (솔찍히 이래야 되나 싶은 현타가 오기도 했지만 이친구만 멀쩡하다면 수고쯤이야.. 가민 쓰는게 죄라면 죄죠 ㅠㅠ) 지금 1월 1일부터 사용을 하고 있고 데이터를 쌓고 있습니다. 그리고는 판매자님께 너무 잘된다고 고맙다고 문자를 넣어드렸습니다.; 무언의 복수?? ;; ㅎㅎㅎㅎ 약간 그런게 있었습니다. ^^;; (그리 나쁜놈은 아닙니다; ㅎㅎㅎ) 21일 동안 즈위프트만 탔으며 스마트 로라를 PC에 연결 가민을 켜서 벡터를 가민에 연결해서 트레이닝 상태등은 가민을 통해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750KM 를 탔고 3시간에도 드랍이 없네요 ㅠㅠ 아직 필드는 안나가 봐서 필드 테스트는 아직 통과전입니다.;; ㅋ 1. 파워점검 이전에 아씨오마로 스마트 트레이너가 싱크라이더 X5라 칼리브레이션을 아씨오마 우노로 잡아서 평균을 맞춰놓은상태였는데 가민으로 테스트시 10W 정도가 낮게 나오더라구요. 어 이상이하다. 뭐가 문제일까.... 아무리 다시 해도 파워가 이상했습니다. 아씨오마 우노가 10W가 뻥인건가.. ㅠㅠ 가민이 10W를 잡아 먹는건가. 호주 대머리 형님의 데이터를 보니 높으면 높았지 낮지는 않았습니다. 이상하다.... 그러다 설치관련된 내용을 보니 ㅋ 설치시 24~40N 의 토크로 조여줄것 아씨오마는 살짝 조여도 문제가 없었습니다. ㅎ 바로 조였습니다. 얼래? 똑같은데? 이런 ㅠㅠ 뭔가 잘못됐다.. 갑자기 현타가 ㅠㅠ 그냥 쓸껄 쓸껄. ㅜㅜ 아놔 그러다 문득 스페이서를 알류미늄 스페이서를 넣은게 생각이 났습니다. 아니나 다를까요 알류미늄 와셔가 우그러져 있더군요 바로 빼버리고 그냥 빼고 장착을 최대한 쌔게 했습니다. 토크 렌치도 없고 그 크래프트 그것도 없어서 그냥 꽉 조으라고 하더군요. 와우 와우..ㅠㅠ 정상입니다. ㅎㅎㅎㅎㅎ너무 너무 좋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그 파워 고급 테스트를 하는 방식으로 한번더 확인했습니다. 질량을 메달아서 3번의 값을 측정 평균을 내어 계산식에 따른 비교를 했더니 1 기준으로 0.9995가 나오더군요 ㅠㅠ 또한 가민은 저 축척인수를 수정하여 파워를 보정 할 수 있었습니다. 앱이나 가민 830에서 변경이 가능하더군요 그냥 두었습니다. 저정도 오차는 그냥 오키 그런데 생각보다 파워가 엄청 들쭉 날쭉 하더군요 아씨오마랑 비교했더니 뭐 비슷해서 패스 그런데 충격적인 사실은 양발 밸런스가 쓰렉입니다. ㅠㅠ 왼발 47.8 오른발 52.2 ㅎㅎㅎㅎ 잘해야 48 50 나오군요. 저정도면 괜찮다고 그냥 타라더라구요. 이렇게 좌충우돌 가민 벡터3 입양 후 조치를 맞췄습니다. ^^;; ** 아 그리고 개선된 배터리 커버 및 캡은 버리지 마세요 꼭 가지고 계십시요. 그 내부에 플라스틱은 분리가 됩니다. 딱 잘 빼면 살짝 스크레치는 나지만 딱~하고 빠집니다. 다시 껴넣으면 들어가구요. 캡이 4개가 ㅡㅡ 생겼네요. 내부 케이스도 2개 여유 아마 평생쓰지 않을까 합니다. ^^ ㅎㅎㅎ 추가로 CR1/3N 배터리를 구매해서 사용해 볼생각이네요 ^^ 혹시나 도움이 될까 올려봅니다. 그럼 항상 안라 하시고 즐거운 잔차생활 하세요 ^^
배터리관련 사용시간 관련 추가사항
현재 즈위프트를 하면서 가민도 연결하고 실내트레이닝을 하니 1시간을 할 경우 컴퓨터나 핸드폰에 연결되고 추가로 가민에 연결을 하니 두배로 쓰는것 같습니다. 예상으로요. 현재 배터리를 LR44 소니제품으로 교체했으니 시간을 지켜봐야겠습니다. 이전에 있던 배터리는 중고로 살때 있던 배터리 였습니다. 23시간을 탔으며 2배를 적용하면 46시간을 사용하고ㅠ장렬히 전사를 했네요. 한달 반정도 사용 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
----------------------------------------------------------------------------------------------------------------------- 음 리퍼를 받으면 시리얼 번호가 변경 되고 우측 페달의 넘버가 좌측과 엄청 갭이 많이 생기는것 같습니다. 8자리인가요 그 스핀들에 쓰여진 번호요. ID 제꺼는 왼쪽 페달이 004xxxxx로 시작 하고 .. 오른쪽은 1002xxxxx 이렇게 되더라구요. 뭐 조금은 더 리퍼 받아서 안심은 되는데 뭐 오른쪽 페달은 앞을 1로 시작해서 구분을 짓는건진 모르겠지만요 ㅎㅎㅎ 뭐 뇌피셜입니다. ㅋ ㅠㅠ 파미가 정상인지 아닌지는 로라가 싱크라이더라 .. 탁스나, 와후, 드리보같은 상급 트레이너에 물려 확인해 봐야겠네요 ㅠㅠ |